라이프

[우리말 산책]까탈스러운 사람과는 연애하지 말라

“길동이는 성격이 유난히 까탈스럽다”거나 “길동이 너, 너무 까탈스럽게 굴지 좀 마라” 따위는 우리가 생활 속에서 흔히 쓰는 말이야. 그러나 이 문장의 ‘까탈스럽다’는 표준어가 아니야. 표준어 규정 제25항에서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규정하고, ‘까닭스럽다’ ‘까탈스럽다’를 ‘까다롭다’의 비표준어로 못 박았거든.

그러면서 또 ‘까탈’은 쓸 수 있도록 해 놓았어. “일이 순조롭지 아니하도록 방해하는 어느 조건” “이러쿵저러쿵 트집을 잡아 까다롭게 구는 일”을 뜻하는 ‘가탈’의 센말 ‘까탈’은 “오늘 따라 웬 까탈이냐” “네가 까탈을 부리는 까닭을 모르겠다” 따위처럼 명사로 쓰일 수 있다는 거지.

그럼, 좀 이상하지 않아? ‘-스럽다’는 “일부 명사에 붙어 ‘그러한 느낌이 있다’는 뜻의 형용사를 만드는 말”이야. 그러니까 명사 ‘까탈’ 뒤에 붙어서 ‘까탈스럽다’를 이루는 것이 아주 자연스럽잖아. 안 그래?

더욱이 언중은 ‘까다롭다’와 ‘까탈스럽다’를 다른 의미로 구분해 사용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언어 현실이야. 예를 들어 “이 문제는 꽤 까다로운데”라는 문장에서 ‘까다로운데’를 ‘까탈스러운데’라고 얘기하지는 않아. 반면 “희선이는 꽤 ○○○○○는 말을 자주 듣는다”라는 표현에서는 ○○○○○에 ‘까다롭다’와 ‘까탈스럽다’를 비슷하게 쓰고, 굳이 우열을 가리자면 ‘까탈스럽다’를 좀더 많이 쓰는 편이야. 그런데도 ‘까탈스럽다’를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는 지금의 표준어 규정이 영 마뜩지 않아.

<엄민용기자 (건방진 우리말 달인 저자)>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