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조선업종 실업대란이 현실화하면서 취업자 증가 폭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조선에 이어 전자·IT업종도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저가항공 이용객 증가와 ‘한류’에 힘입은 수출 증가로 항공운송, 식품, 화학 등의 고용은 호조를 보였다.

고용노동부가 7일 발표한 10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6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만2000명(2.4%)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2010년 9월(27만 2천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4월 월 22일 경남 거제시 옥포동에 있는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때 5만 명 가까이 근무했던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안에 3만 명 수준으로까지 감축할 예정이다. | 박은하 기자

취업자 증가율은 업종별로 차이가 컸다. 증가율이 높은 업종들은 서비스업이 차지했다.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증가율이 12.0%에 달했고, 이어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5.7%),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4%) 순이다.

공공행정·국방은 -1.8%로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모든 업종 중 임금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율(0.1%)도 낮았다.

전체 업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증가율이 0.2%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6천명에 그쳐 8월(9천명), 9월(7천명)에 이어 석 달 연속 증가 폭이 1만명을 밑돌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7천700명)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의 취업자 증가 폭이다.

고용 악화를 주도한 것은 구조조정에 있는 조선업이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늘었다. 하지만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6월 1만2000명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2000명, 9월 2만4000명, 10월 2만5000명으로 3분기 이후 늘어 ‘실업대란’이 현실화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지난해 말 고용규모는 21만명에 달했으나, 올해 9월에는 18만3000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0% 이상 급감했다.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해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5000명이나 감소했다. 2013년 9월 고용규모가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올해 9월 고용규모는 51만 8000명에 그쳤다. 이는 중국과의 가격 경쟁을 견디다 못해 국내 전자업체들이 휴대전화, LCD 등 생산기지를 해외로 속속 이전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철강 등 ‘1차 금속산업’은 중국의 저가 철강재 수출 등으로 2013년 하반기부터 고용이 크게 줄다가 지난해 중반 이후 안정된 수치를 보였다. 다만 고용 감소세는 이어져 10월에도 고용규모가 2300명 감소했다.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는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 2000명 늘어 25만4000명에 달했다.

중국 내에서 한국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수출이 늘고 있는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도 취업자 수가 1만명 늘었다. 고용규모는 22만9000명이다.

해운업 불황으로 수상운송업 취업자는 2013년 초부터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저가항공 활성화 등으로 항공운송업 취업자는 증가폭이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921만 6000명으로 25만 4000명(2.8%) 증가했다. 특히, 29인 이하 중소기업에서 21만8000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74.7%를 차지했다.

반면에 구조조정이 한창인 300인 이상 대기업은 343만4000명으로 3만8000명(1.1%) 늘어나는 데 머물렀다.

올해 3분기 고용보험 가입 임금근로자 중 실직으로 구직급여를 신규 신청한 사람은 총 20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00명(1.6%)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장년층에서 크게 늘었으며, 수급기간 180일 이상 장기근속자 중심으로 증가했다.

구직급여 수급기간은 90일에서 240일까지 6개 구간으로 나뉜다. 실직자의 재직 기간이 길고 나이가 많을수록 더 오래 받는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도·소매업, 사업서비스업 등 신규 신청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남, 울산, 부산 등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이 큰 지역에서 많이 늘었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