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2026년 월드컵 '승부담합' 돌파구는 승부차기?

국제축구연맹(FIFA)이 월드컵 본선 진출국이 48개국으로 늘어나는 2026년부터 조별리그에서 승부차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독일일간 ‘빌트’는 19일 마르코 반 바스턴 FIFA 기술위원장의 발언을 인용해 ‘승부차기는 3개팀이 한 조로 묶여 32강 진출을 겨루는 상황에서 (승부담합을 막는) 하나의 옵션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승부차기는 1970년 멕시코월드컵에서 처음 도입된 제도다. 전·후반 90분을 넘어 연장전까지 치른 상황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했을 때 양 팀에서 각각 5명의 선수가 나와 한 번씩 페널티킥을 찬다. 지금까지는 토너먼트부터 적용됐지만 2026년부터는 조별리그부터 무조건 승부를 가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사진 | 게티이미지/이매진스

2026년 월드컵에선 48개국이 3팀씩 16조로 조별리그를 치러 2팀씩 32강에 오르는데, 구조적인 한계로 마지막 경기를 치르는 2팀이 의도적으로 승부를 담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1982년 스페인월드컵에선 서독과 오스트리아가 조별리그 3차전에서 승부를 담합했다는 의혹을 받은 전례가 있다. 서독이 전반 10분 선제골을 넣은 뒤 서로 짜기라도 한 듯 무의미한 플레이로 일관해 ‘히혼의 수치’라는 비판을 받았다. 서독은 비기기만 해도 탈락인 절체절명의 위기인 반면 오스트리아는 2골차로 져도 본선에 오를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승부 담합을 의심한 서독 경기 해설자는 경기 도중 해설을 거부했고, 오스트리아 해설자는 시청자에게 “차라리 TV를 꺼달라”고 요청했다.

FIFA는 승부차기가 조별리그부터 도입돼 무승부가 사라진다면 이 같은 우려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 3팀이 승점과 골·득실이 맞물려 경기장에서 보여준 실력이 아닌 다른 요소가 끼어들 가능성도 줄어든다.

FIFA는 한 발 나아가 1970~1980년대 북미 지역에서 사용됐던 승부차기도 고려하고 있다. 마치 아이스하키의 페널티샷처럼 골대에서 25m가량 떨어진 지점부터 드리블해 골키퍼와 1대1로 승부를 가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지난해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로축구 챔피언을 가리는 결승전에서 적용돼 화제가 됐다.

현역시절 네덜란드가 자랑하는 골잡이었던 판 바스턴 위원장은 “그것도 대안 중 하나”라며 “골키퍼는 페널티박스 밖으로 나오면 안되지만, 공을 한 번 쳐내면 끝난다”고 말했다. 그러나 판 바스턴 위원장은 승부차기는 하나의 옵션일 뿐 다른 대안들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