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구직포기 청년 41개월만에 또 증가세, 의미는?

감소하던 청년층 구직단념자들이 3년5개월만에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의 채용이 줄면서 구직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26일 지난달 15∼29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510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것은 2013년 8월 이후 41개월만에 처음이다. 비경제활동인구로 잡히는 경우는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취업을 한 것도 아니고 구직활동도 하지 않을 때에 해당된다.

취업자나 실업자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다. 취업준비생이 구직 활동을 시작하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에, 청년층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정상이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2014년 이후 2∼4% 내외 감소율을 유지했고 지난해 6월에 4.0%까지 감소 폭이 커졌다. 그러나 지난해 11월부터 감소 폭이 줄었고, 지난달에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는 한창 취업을 할 시점인 20대 후반에서 두드러지게 늘어났다. 지난달 25∼2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9.3% 증가하며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대 후반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은 다른 연령과 비교했을 때 특히 높다. 20대 초반은 1.4% 올랐고 30대는 3.3% 줄었다. 대졸 구직자들이 취업을 포기하며 적체돼 가는 현상을 가늠할 수 있다.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이 내려간 것은 과거보다 청년층 경제활동 참여가 저조해 진 것으로 취업 상태에 있다가 비경제활동인구가 되거나 실업 상태에 있다가 비경제활동 상태로 간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기업의 채용이 줄면서 구직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8%로 1999년 이후 가장 높았다. 2015년 9.2%로 역대 최고치로 치솟은 후 1년 만에 또다시 기록을 걍신한 것이다.

이후 청년들 구직 포기가 늘어나자, 올해 초 청년실업률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기까지 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1월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8.6%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통계상 구직포기자들은 실업자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런 통계 이면에 있는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계속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해 통계청이 공식 발표하지 않은 청년층 ‘체감 실업률’은 22%에 달했다.

동네 청년 다섯명 중 하나는 일이 없어 놀고 있다는 의미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