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홍선애·김성신의 북톡카톡] ‘우리가 사랑한 한국 소설의 첫 문장’이 들려주는 소설문학의 위대함

‘북톡카톡 시즌2’의 히로인 홍선애. 그녀의 직업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다. 경제와 건강, 그리고 교양 분야가 그녀의 전문영역이다. 방송인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지만, 카메라 앵글 밖에서의 홍선애는 어처구니없을 만큼의 고지식함과 독서에 관한 한 가장 순수한 열정을 가진, 조금 엉뚱한 청춘이기도 하다. 톡방의 주인장 김성신의 직업은 출판평론가다. 방송과 강연, 집필 등 온갖 수단을 통해 책의 흥미로움을 세상에 전하고 있다. 그는 늘 재미를 찾는다. 책에 관한 격 없는 수다를 서평으로 기록해 보자는 ‘북톡카톡’ 칼럼도 그의 아이디어다. 책읽기가 연애보다 훨씬 재미있다는 아가씨 홍선애. 꽃중년을 자처하는 수다쟁이 아저씨 김성신. 두 사람의 즐거운 책 수다 북톡카톡 여든 번째 이야기는 김규회의 <우리가 사랑한 한국 소설의 첫 문장>(끌리는책)이다.

성신:“국경의 긴 터널을 지나니 설국이었다. 밤의 밑바닥까지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췄다.”

선애: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첫 문장 아닌가요? 느닷없이 왜?

성신:이 문장이 왜 그토록 인상적인지를 한번 생각해 봤어.

선애:‘소설 역사상 최고의 첫 문장’이라고도 하잖아요. 그런데 정말 희한하긴 해요.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설국>의 첫 문장을 인상적이라고 할까요?

성신:사람이 무엇인가에 대해 인상적이라고 느낀다면, 거기엔 뭔가 합당한 이유가 있겠지. 더군다나 수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그리 느낀다면 말이야.

선애:정말 그 이유가 궁금해요. <설국>의 첫 문장은 왜 인상적일까요?

성신: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나는 우선 이 문장에 주어가 없다는 것이 이유 중 하나라고 봐.

선애:그게 무슨 뜻이에요?

성신:주어가 없는 저 문장은 마치 나의 독백처럼 읽혀지지 않아? 주어도 없고, 게다가 어떤 대상을 놓고 말하는 것도 아니고.

선애:아! 정말 그러네요. 그래서요?

성신:그래서 저 문장을 읽자마자 독자는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읽는다는 느낌보다는, 내가 직접 경험한 어떤 장면을 떠올리는 듯한 느낌이 든다는 거지. 한마디로 말해서 ‘훅 들어가는 거’야. 첫 문장을 읽자마자 소설의 공간 속으로.

선애:와~ 정말 재미있네요. 그러고 보니 <설국>은 줄거리도 별로 없잖아요. 중요하지도 않고. 대신 이미지들이 가득 차 있죠. 작가가 대단히 정교한 설정을 숨겨 놓은 것이네요.

성신:그렇다고 볼 수 있지.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처럼 기억하게 되니까, 저 첫 문장만 다시 봐도 우리는 <설국>을 읽었을 당시에 떠올렸던 이미지들을 다시 떠올리게 되는 거지.

선애: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왜 노벨문학상을 받았는지 이해가 가네요.

성신:이야기가 아니라 이미지와 이미지가 이어져 서사의 기억이 만들어지는 소설. <설국>은 소설문학의 영토를 크게 확장한 작품이랄까, 바로 그런 의미가 있지.

선애:선생님이 최근 무슨 책을 읽고 이런 생각을 했는지 짐작이 가요.ㅋㅋㅋ

성신:내가 금방 들킬 줄 알았다! ^^

선애:<우리가 사랑한 한국 소설의 첫 문장>이죠?

성신:아예 돗자리 깔아!

선애:‘첫 문장’이라고 하실 때 금방 알았어요. 책의 기획과 구성이 독특해 저도 얼른 찾아 읽었거든요.

성신:누군가 반드시 이런 책을 쓸 줄은 알았는데, 보니까 이런 책을 쓰기에 가장 마땅한 사람이 썼더군. 이런 책의 구성은 얼핏 쉬워 보이지만, 저자의 입장에서는 가장 어려운 작업이기도 하거든. 쉽게 시도해 볼 수 있지만 완성도를 만들기는 정말 어렵지.

선애:저자는 저널리스트인데, 신문사 편집국 조사부에서 오랫동안 근무했더라고요. 그런 조사 전문가라서 이런 책의 집필이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요?

성신:나도 그렇게 생각해. 아무튼 이런 책을 이런 수준으로 쓰려면, 우선 좋은 작품과 문장을 선별하는 눈이 있어야 하고, 이를 분류하고 편집하는 집요한 노력도 있어야 되겠지. 한번 생각해 봐. 언급되는 그 많은 작품들을 모두 읽고 해석하는 일부터가 보통 일이겠어? 이런 책은 읽기는 쉽지만 쓰기는 정말 어려워.

선애:그러네요. 아무튼 이 책은 명언집보다 훨씬 더 많이 밑줄을 치게 하더라고요. 외우고 싶은 문장도 많았고요. 깊은 생각에 빠지게 만드는 명문장도 많았죠.

성신:어떤 문장이 인상 깊었어?

선애:‘어머니의 칼끝에는 평생 누군가를 거둬 먹인 사람의 무심함이 서려 있다.’ 김애란의 <칼자국>에 나오는 첫 문장인데요. 김애란 작가를 다시 보게 됐죠.

성신:어떻게 다시 봐? 평소 김애란 작가를 우습게 봤었나? ㅋㅋㅋ

선애:아니요. 무슨 말씀을! 제가 무척 좋아하는 작가죠. 그런데 독특하고 새로운 문학적 감각을 가진 재기발랄한 젊은 작가라고 생각해 왔는데, 굉장히 정교하면서도 깊이 있는 문장을 구사한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성신:피카소의 그림을 그의 것인지 모르고 보다가, 갑자기 “이 작품이 피카소가 그린 거예요” 하는 소리를 들은 것 같은 기분? ㅋㅋㅋㅋ

선애:하하하 비슷해요! 느닷없이 가치를 알게 돼 약간 멍해지는 느낌? 아무튼 첫 문장을 다시 읽는 것만으로도 한 작가를 전혀 다른 각도로 보게 만들더라고요. 흥미로운 경험이었어요.

성신:선애가 이 책의 기획의도를 정확하게 간파했네. ‘첫 문장 다시 읽기’라는 어이없을 정도로 간단한 기획이지만, 이 기획이 만들어 내는 효과는 굉장히 커. 문학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시켜 주지. 그것도 아주 순식간에 말이야.

선애:맞아요. 소설을 그냥 ‘재미있는 스토리’ 정도로 여기기 쉽잖아요? 그런데 이 책은 소설문학이 얼마나 위대한 예술적 영역인지 명확하게 알려주죠.

성신:‘좋은 책’의 기준 중에는 바로 그런 것이 있지! 바로 ‘환기’야! 관습화된 독자들의 생각을 순간적으로 확 바꿔주는 능력 말이지. <우리가 사랑한 한국 소설의 첫 문장> 이 책은 바로 그런 좋은 책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

선애:사람도 그런 사람은 멋있죠! 요즘 청와대에서 ‘얼굴 농단’ 벌이시는 분들처럼!

성신:아! 이젠 선애까지! 요즘 나처럼 인물민주화 남성들은 아주 수난이다. ㅋㅋㅋ

선애:요즘 정말이지 ‘증세 없는 복지’라는 말이 실감나요.

성신:안구복지국가는 벌써 이룬 거야?

선애:매일 매일이 천국 같아요. 으하하~

성신:이런 쯧~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