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교사들 “퇴근 후에도 학부모가 연락…스토킹 수준의 메시지 보내는 학부모도 있어”

교사 대부분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알려주고 있고, 90% 가까이는 일하는 시간 외에도 전화나 문자·카카오톡 메시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술을 마시고 전화하거나 지인과 소개팅을 종용하는 등 교육활동 범위를 넘어선 연락을 하는 학부모도 있다고 호소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지난달 6~20일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교원 1천835명을 이메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29%포인트라고 교총은 설명했다.

17일 조사결과를 보면 교사 96.4%(1769명)가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한 적 있었다. 알려준 적 없다는 교사는 3.6%(66명)에 그쳤다.

게티이미지뱅크

학생·학부모에게 실제 전화나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등 SNS 메시지를 받은 적 있다는 교사는 95.8%(1757명)였고 그런 적 없다는 교사는 4.0%(74명)였다. 전화와 휴대전화 메시지가 ‘비상연락수단’이 아닌 교사와 학생·학부모 사이 일상적인 소통방법으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는 결과다.

학생·학부모로부터 전화·메시지를 받은 적 있는 교사 64.2%(1천132명)는 “근무시간과 근무시간이 아닐 때 구분 없이 수시로 전화·메시지를 받았다”고 답했다.

전화·메시지를 받은 시간이 주로 평일 퇴근 후라는 교사는 21.4%(378명), 주말·공휴일이었다는 교사는 3.2%(56명)였다.

시간에 상관없이 학생·학부모 연락을 받거나 쉬는 시간에 받은 교사가 88.8%에 달하는 것이다.

근무시간에 전화·메시지를 받은 경우가 많다는 교사는 11.2%(197명)에 그쳤다.

하지만 근무시간 외에는 긴급한 전화·메시지만 보내라고 교육한 적 있다는 교사는 57.9%(1천63명) 정도였고 42.1%(772명)는 그런 교육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전화·메시지 회수는 일주일에 1~4차례라는 교사가 38.0%(670명)로 최다였고 월 1~3차례가 23.8%(419명), 하루 1~2차례가 21.0%(369명)로 뒤를 이었다. 하루 3차례 이상 전화·메시지를 받는다는 교사도 11.6%(204명)나 됐다.

주된 전화·메시지 내용(중복응답)은 ‘결석통보나 학교폭력 사안 등 학생 관련 상담’이었다는 교사가 70.0%(1천222명)로 가장 많았다.

준비물이나 녹색어머니회 순번 등 단순질의가 많았다는 교사는 53.8%(945명), 주로 민원·항의와 교육 관련 내용이었다는 교사는 각각 27.9%(491명)와 13.1%(231명)였다.

교육활동과 무관한 전화·메시지가 대부분이라는 교사는 13.6%(239명)였다.

한 교사는 “술을 마신 학부모가 전화·메시지로 욕을 하거나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다른 교사는 “젊은 여교사에게 아는 사람을 소개해주겠다고 카카오톡 메시지를 수시로 보내 곤욕을 치렀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학부모로부터 스토킹 수준의 메시지를 받았다는 여교사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교사 68.2%(1251명)는 학생·학부모에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하는 데 반대했다. 찬성은 20.5%(377명)였다.

교총은 이날 하윤수 회장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학교구성원 간 휴대전화 사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