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한미약품이 닦은 기초 위에서 국내 제약사 기술 수출 급증

유한양행이 1조4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기술수출 계약을 하면서 제약·바이오 업계에 대한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번 기술수출은 2015년 한미약품이 프랑스 사노피와의 5조원대 계약 이후 3년 만에 체결된 대형계약이다. 이는 국내업체들의 기술과 글로벌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는 방증으로 유한양행뿐 아니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대한 전반적인 투자심리를 개선시켜주는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유한양행 한 연구원이 중앙연구소에서 신약을 연구하고 있다. 사진 유한양행 제공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의 기술수출 계약은 7건, 23억7515만달러(약 2조7000억원)였다. 지난해 8건, 12억3400만달러(약 1조4000억원)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국내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에 관심을 계기는 2015년 한미약품이 프랑스 사노피에 기술 수출한 퀀텀프로젝트다. 39억 유로(약 5조원)에 이르는 초대형 계약으로 한미약품은 제약바이오 업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한미약품의 폐암 신약 치료제 후보물질이었던 올리타는 2015년 7월 독일계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 7억3000만 달러(약 8500억원) 에 기술 수출되기도 했다.

한미약품의 기술 수출 성공 사례는 국내 다른 제약 바이오 기업들에게 자극제가 됐다.

동아에스티는 신약 연구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제약사 가운데 하나다. 동아에스티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매년 10% 이상 R&D(연구개발)에 지속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동아에스티 R&D비용은 총 787억원으로 전년 대비 13.2%나 늘었다. 올해 상반기(매출액 2880억원)도 365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입하며 10% 이상 투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투자는 기술 수출로 나타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2014년 일본 삼화화학연구소(SKK)에 빈혈치료제 ‘네스프’의 바이오시밀러인 ‘DA-3880’을 기술 수출한 바 있다. 당뇨병치료제 DA-1229, 면역항암제 DA-4501도 기술 수출했다. 올해는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와 당뇨병성신경병증치료제 천연물 의약품 ‘DA-9801’과 퇴행성신경질환치료제 ‘DA-9803’에 대해서 각각 기술수출 및 양도계약을 체결했다.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300억원 규모의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렌플렉시스’(성분명 인플릭시맵)를 미국 재향군인부에 독점 공급한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SB5’(휴미라 바이오시밀러·성분명:아달리무맙)에 대한 바이오의약품 품목 허가 신청 서류 심사를 시작했다.

셀트리온은 최근 일본 법원에 낸 ‘허셉틴 유방암 적응증 특허 무효 항소심’에서 승소했다. 일본에서 약 4000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허셉틴은 위암과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승소로 허쥬마가 일본 시장에 조기에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한미약품이 닦아놓은 기초 위에서 국내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기술 수출 사례가 조금씩 늘어가면서 신약 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