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미국 소도시 글렌데일에 ‘평화의 소녀상’이 있는 이유를 알려주는 ‘기억 전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북쪽에 있는 작은 도시 글렌데일은 인구가 약 20만명에 불과하지만 2013년 한국 이외 지역 중 최초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이 들어섰다.

많은 외국 도시 가운데 한국과 특별한 인연도 없는 글렌데일에 ‘평화의 소녀상’이 설치된 사연을 담은 책 ‘기억 전쟁’(임지현 저·휴머니스트 펴냄)이 출간이 됐다.

저자는 ‘평화의 소녀상’이 이 곳에 있게 된 이유를 글렌데일 민족 구성을 통해 설명해 준다. 글렌데일에는 해외에서 가장 큰 아르메니아인 공동체가 있다. 주민 중 40%가 아르메니아계로 알려졌다. 이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집단학살을 당한 ‘기억’을 공유한 사람들이다.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때 아르메니아 집단학살 생존자 후손이자 글렌데일 시의회 의원인 자레 시나얀은 “갈등을 해소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최선의 방법은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오늘날까지 (가해자들)사과가 없고 사실을 제대로 인정하지도 않기 때문에 상처는 깊고 또 곪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자는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에 대한 기억이 글렌데일의 아르메니아인들로 하여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에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었을 것”이라며 “강력한 아르메니아 공동체가 지지하지 않았다면 글렌데일에 소녀상을 세우기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저자는 “역사가 공식적 대화라면 기억은 친밀한 대화”라며 “역사학 방법론이 문서 기록을 근거로 산 자가 죽은 자를 심문하고 재단하는 데 치우쳐 있다면, 기억 연구는 산 자가 죽은 자의 목소리에 응답해서 그들의 원통함을 달래는 데 힘을 쏟는다”고 설명한다.

‘사실’에 근거한 실증주의 연구 방법론을 채택한다면 사료가 중요할 수 있지만, 과거에 벌어진 복잡한 양상을 추적하려면 기억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역사학에서 중국 난징 대학살 희생자 수는 ‘30만명’이 정설이다. 저자는 중국이 30만명 희생을 못 박은 데에는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 피해자보다 많아야 한다는 강박감이 작용했을 것으로 봤다.

저자는 역사에서 숫자는 ‘누가 희생자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할 때 하나의 근거가 된다고 지적한다. 우리 민족이 더 많이 죽었기에 가해 민족 혹은 국가에 대해 역사적 우위에 있다는 시각은 수치 중심적 사관이 빚은 결과다.

하지만 역사는 단순하지 않다. 20세기 초반 역사에서 한국인과 유대인은 피해자, 일본인과 독일인은 가해자라는 도식적인 견해는 자칫 개인을 매몰시킬 우려도 있다.

저자는 한나 아렌트가 ‘집합적 유죄’라는 개념에 반대했다며 “죄의 유무는 그가 속한 집단이 아니라 인간 개인이 저지른 일의 내용과 결과에 따라 판정해야 한다는 아렌트의 주장은 극히 상식적”이라고 말한다. 이는 정치나 기계만으로 사람들을 학살할 수는 없고 결국 사람만이 사람을 학살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책의 부제는 ‘가해자는 어떻게 희생자가 되었는가’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