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홍선애·김성신의 북톡카톡] 캔디부터 삐삐까지 ‘우리가 사랑한 소녀들’은?

intro

‘북톡카톡 시즌2’의 히로인 홍선애. 그녀의 직업은 프리랜서 아나운서다. 경제와 건강, 그리고 교양 분야가 그녀의 전문영역이다. 방송인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지만, 카메라 앵글 밖에서의 홍선애는 어처구니없을 만큼의 고지식함과 독서에 관한 한 가장 순수한 열정을 가진, 조금 엉뚱한 청춘이기도 하다. 톡방의 주인장 김성신의 직업은 출판평론가다. 방송과 강연, 집필 등 온갖 수단을 통해 책의 흥미로움을 세상에 전하고 있다. 그는 늘 재미를 찾는다. 책에 관한 격 없는 수다를 서평으로 기록해 보자는 ‘북톡카톡’ 칼럼도 그의 아이디어다. 책읽기가 연애보다 훨씬 재미있다는 아가씨 홍선애. 꽃중년을 자처하는 수다쟁이 아저씨 김성신. 두 사람의 즐거운 책 수다, 북톡카톡 백서른한 번째 이야기는 <우리가 사랑한 소녀들>(최현미·노신회 지음 / 혜화1117)이다.

성신:선애는 누가 제일 부러워?

선애:제가 아직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사람이 제일 부럽죠.

성신:현실감각이 뛰어나군. 난 누굴 부러워할 때도 비현실적인데.

선애:혹시 슈퍼맨 같은 사람이 부러우신가요?

성신:그보단 훨씬 소박하지.

선애:그럼 뭐지…?

성신:딸 가진 엄마!

선애:ㅋㅋㅋㅋㅋ 소박하면서도 매우 비현실적이네요. 선생님은 딸도 없고, 게다가 엄마가 될 수는…. 그런데 왜 부러우세요?

성신:이제 여든이 넘으신 어머니와 쉰 살이 넘은 여동생이 나누는 대화를 곁에서 가만히 들어보면 너무 신기하거든.

선애:뭐가 신기하세요? 대충 짐작은 가지만… ^^

성신:분명 서로 말을 하고 있는데, 가끔은 독백인지 방백인지 알기 어려운 어법으로도 서로 대화를 하더군.

선애:서로가 거의 완벽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대화라서 그럴 수 있겠지요.

성신:그런가 봐. 그런데 유독 내 여동생이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는 어머니의 말이 있더라고.

선애:어떤 말이죠?

성신:어머니가 여동생보고 ‘너는 나잖아!’라는 식의 말을 하면, 그건 아주 싫어하더라고.

선애:아이고! 그거 세상의 모든 딸들을 가장 미치게 하는 말이죠. 아마도 완전히 부정할 수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마치 거대한 덫에 걸린 것처럼 가슴이 답답해지는 말이에요.

성신:같지만 다르게 살고 싶은?

선애:그게 옳잖아요.

성신:맞아! 모녀관계의 바로 그 점이 부자관계와 가장 다른 점 같아. 아버지처럼 살고자 하는 아들들은 꽤 있으니까 말이야.

선애:감정적으로 훨씬 복잡하죠. 일단 여성의 삶은 여성이 만족할 만하지 않았잖아요. 그 어떤 시대에도 말이죠. 그런데 대체 어떤 책을 읽으셨기에 이런 이야기를 꺼내시죠?

성신:진정으로 부러워하며 읽은 책이지.

선애:아! 엄마와 딸이 함께 쓴 책인가 보다! <우리가 사랑한 소녀들>을 읽으셨군요.

성신:빙고!

선애:세상의 모든 소녀들이 사랑하는 소녀들에 관한 이야기를 엄마와 딸이 나누는 책. 그런데 이 엄마와 딸은 전형적인 한국 모녀의 모습이 아니었어요. 저는 일단 그 점이 매우 마음에 들었어요.

성신:50대 초반의 지성적 면모를 가진 엄마와 20대 초반의 예술적 면모를 가진 딸이 등장하니까, 나 역시 훨씬 현실적으로 느껴지더군.

선애:엄마와 딸인데, 각각 지성과 예술을 상징한달까? 그런 면에서 보면 이 책은, 86세대와 N포세대의 만남과 연대의 가능성까지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측면이 있었어요.

성신:응. 자신들이 어린 시절부터 좋아했던 문학과 만화 속 소녀에 관해 자신의 생각을 내놓는 것뿐인데도, 그 이야기들이 그저 감상적으로만 느껴지지 않더라고.

선애:엄마와 딸의 대화가 늘 그렇듯이 간극과 여백이 더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죠. 이 책을 읽을 때는 바로 그것을 읽어야 해요. 글자가 없는 지면을….

성신:글자 없는 지면을 읽어라? 정말 기가 막히군! 암튼 이 책은 제목이며, 표지 디자인이며, 등장인물들까지, 매우 ‘소녀소녀’한 책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매우 지성적인 책이기도 해.

선애:들장미 소녀 캔디, 알프스 소녀 하이디, 말괄량이 삐삐, 소공녀의 사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키다리 아저씨의 주디…. 이 소녀들도 독자들과 함께 성장했고, 그래서 지성적 존재들이 된 것 아닐까요?

성신:나 역시 그렇게 봐.

선애:저는 주근깨에 빼빼 마른 빨간 머리 앤과 늘 함께 살고 있어요.

성신:선애와 함께 나이 들어간 빨간 머리 앤은 지금 어떤 사람이 돼 있을지 궁금하네.

선애:앞으로도 오랫동안 저를 지켜보시면 언젠간 만날 수 있을 거예요.^^

성신:그러지 뭐! ^^ 암튼 난 <우리가 사랑한 소녀들>이 굉장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어.

선애:어떤 점에서요?

성신:얼핏 보면 ‘그 시절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게 퇴행이거나 회고가 아니더라고.

선애:그건 아마도 두 저자가, 자신들이 지금 서 있는 지점과 성장에 대해 성찰하고 있기 때문일 거예요. 그 소녀들을 통해서 말이죠.

성신:엄마와 딸이 같은 작품을 읽고 각자 다른 생각을 한 것을 적어 놓은 듯 보이지만, 사실 이 책은 끝이 없는 질문을 던지고 있더라고.

선애:어떤 질문인가요?

성신:“그 소녀들처럼 우린 여전히 잘 살아가고 있는가?”

선애:아! 저는 이 대목이 인상 깊었어요. 엄마 저자는 <피터팬>의 웬디를 떠올리며 엄마 역할을 마다하지 않는 모습에서 소녀에게까지 현모양처를 요구했던 시대를 비판적으로 이야기하는 반면에, 딸 저자는 나이도 먹지 않는 피터팬에 비해 웬디가 독립적 주체로서 성장해 가는 것에 주목하죠. 그러고 보니 둘 다 대답이 아니라 질문이네요.

성신:딸 저자의 이야기를 듣다 보니, 나느 백 살의 웬디가 궁금해지더군. ‘그 후로도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같은 막연하고 환상적인 미래가 아니라 ‘나는 이렇게 살고야 말겠다’라는 구체적인 의지와 희망을 볼 수 있었어.

선애:이 책 정말 처음에는 가볍게 읽었는데, 생각이 퍼져 나가는 범위가 한도 끝도 없네요.

성신:간단하지가 않지. 정말 좋은 책이야! 그래서 말인데, 나는 먼 훗날 이 저자들이 이 책을 다시 썼으면 좋겠어.

선애:다시 써요? 어떻게요?

성신:엄마가 증조할머니가 되고, 딸도 할머니가 되고, 손녀가 다시 딸을 낳아 4대가 함께 이 책의 개정증보판을 내는 거지! 그러면서 나는 피터팬처럼 그것을 다 지켜보는 거야! 열렬히 응원하면서.

선애:ㅎㅎㅎㅎ 인정! 엄마와 딸을 부러워하실 만한 자격이 있네요!

성신:이 책을 읽다가 문득 사내들의 어린 시절이 떠올랐어. 국어시간에 선생님이 <소나기>를 실컷 설명했더니, 대뜸 “그래서 걔네들이 같이 잤다는 거예요, 안 잤다는 거예요?”라고 묻던 놈이 있었지.

선애:ㅋㅋ 엄청난 친구네요. 그래서 어떻게 됐나요?

성신:실컷 두들겨 맞았지.

선애:애들은 그게 궁금할 수도 있지, 뭘 그렇게 패기까지….

성신:그 녀석 지금은 뭐하고 사나 몰라… 별로 그립진 않지만.

선애:소녀들의 소녀들을 왜 부러워하셨는지 이제야 알겠군요.^^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