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자인메디병원의 위클리 건강체크] 나이 들수록 챙겨야 하는 반월상연골판

나이가 들면 하체가 중요하다. 하체는 이동에 필수적인 기관이기 때문에 고령의 환자가 하체에 문제가 생길 경우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수명 단축에도 영향을 미친다. 하체의 무릎에서 반월상연골판은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고 무릎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어르신들은 꼭 챙겨야 하는 무릎 관절 속의 충격을 완화하고 부드럽게 구조물이다.

자인메디병원 관절센터 정화재 원장

이름도 생소한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안에 들어있는 반달 모양의 물렁물렁한 판을 말한다. 위에서 보면 마치 말발굽에 박는 편자처럼 생겼다. 반월상연골판에 문제가 생기면 무릎을 움직이기가 불편해 져 걷는 동작에도 무리를 준다.

무릎은 위쪽의 대퇴골과 아래쪽의 경골로 나뉘어 지고 두 무릎뼈가 만나는 사이에 빈 공간이 있다. 이 공간을 채워주는 것이 반월상연골판이다. 반원상연골판은 내측과 외측에 하나씩 서로 마주보며 있다.

일반적으로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격한 운동에서 많이 나타난다. 축구나 농구, 테니스 등 다리를 순간적으로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 스포츠에서 자주 발생하며 운동선수들에게는 흔한 질환이다. 이런 외상성 손상 이외에는 나이가 들어 반월상연골판 내부의 변성으로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이 된다.

젊었을 때는 깨끗한 반월상연골판이 나이가 들면서 헤어지게 되고, 심하면 파열되기도 한다. 손상 정도에 따라 무릎이 붓거나 움직일 때 걸리는 느낌이 들고, 통증도 동반된다. 손상이 더 발전되면 무릎이 꺾이거나 운동 범위가 감소되는 등 물리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 정도로 발전하면 걷는 동작도 불편해지기 때문에 걷기를 꺼리고 앉거나 누워 있다 보면 온 몸의 근육 양의 소실과 함께 수명에도 지장을 준다.

반월상연골판의 문제임을 알고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보다는 무릎이 전과 같지 않고 아파서 의사를 찾았다가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 병원에서는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해보며 진찰을 하여 연골의 손상을 관찰하는 신체 검사는 물론, MRI 같은 영상 촬영을 통해 연골의 손상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

반월상연골판 손상 초기에는 통증을 관리하거나 물리치료를 통한 보존치료를 하지만 비수술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된다. 요즘은 절개를 최소화하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한다.

무릎 주변에 손톱 보다 작은 크기로 절개를 하여 얇고 기다란 관절경과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모니터로 환부를 관찰하면서 수술을 하게 된다. 반월상연골판이 손상된 상태에 따라 파열된 연골의 일부를 제거하면서 다듬거나 파열된 부분을 봉합하는 수술로 찢어진 연골판 부위를 이어주게 된다. 관절경내시경 수술은 절개를 하는 일반적인 수술에 비해 수술 후의 통증도 덜하고 회복 속도도 빠른 장점을 갖는다.

수술 후에는 재활과 물리치료가 중요하다. 3개월 전후의 재활 치료를 통해 수술한 반월상연골판이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도와주며 3개월 이후에는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어르신들은 하체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평소에 무릎에 무리를 주는 양반다리 자세나 쪼그려 앉는 자세를 최소화하고 하체에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가벼운 운동을 꾸준히 하여 연골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좋겠다.

상단으로 이동 스포츠경향 홈으로 이동